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로마서 4장 1-3절『그런즉, 육신으로 우리 조상인 아브라함이 무엇을 얻었다 하리요, 만일 아브라함이 행위로서 의롭다 함을 받았으면 자랑할 것이 있으려니와 하나님 앞에서는 없느니라,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 아브라함이 하나님을 믿으매 그것이 그에게 의로 여겨진바 되었느니라.』 창세기 15장 4-6절에『여호와의 말씀이 그에게 임하여 이르시되 그 사람이 네 상속자가 아니라 네 몸에서 날 자가 네 상속자가 되리라 하시고 그를 이끌고 밖으로 나가 이르시되 하늘을 우러러 뭇별을 셀 수 있나 보라 또 그에게 이르시되 네 자손이 이와 같으리라 아브람이 여호와를 믿으니 여호와께서 이를 그의 의로 여기시고』 아브람이 하나님 말씀을 믿는 것은 상속자와 자손에 대한 말씀이다. 상속자는 이삭(그리스도의 상징)이며, 자손은 이삭으로 나온 믿음의 선진들(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이다. 그런데, 아브람이 믿는 믿음은 하나님의 의가 아니라 자기의 의이다. 그것은 아브람의 육신의 생각으로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갑자기 아브람이 다른 말을 한다. 『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가 네게 아들을 낳아 주게 하며 내가 그에게 복을 주어 그를 여러 민족의 어머니가 되게 하리니 민족의 여러 왕이 그에게서 나리라 아브라함이 엎드려 웃으며 마음속으로 이르되 백 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출산하리요 하고 아브라함이 이에 하나님께 아뢰되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 살기를 원하나이다 하나님이 이르시되 아니라 네 아내 사라가 네게 아들을 낳으리니 너는 그 이름을 이삭이라 하라 내가 그와 내 언약을 세우리니 그의 후손에게 영원한 언약이 되리라』 아브람은 결국 이렇게 믿음을 바꾸는 것이다. 처음에는 하인 엘리에셀이라고 했다가 이제는 이스마엘이나 하나님 앞에서 살기를 원한다고 말을 바꾼다.  하나님은 분명히 약속을 이행한다는 언약의 표증으로 할례를 하라고 하신다. 할례는 언약임과 동시에 자신이 하나님께 대하여 죽었다는 표현이다. 내 생각을 내려놓...

문답 101-102

   제 101문 : 그러나 우리가 하나님의 이름으로 경건하게 맹세한다면 그것은 괜찮치 않는가? 답 : 그렇다. 하나님의 영광과 이웃의 유익을 위하여 진리를 보존하고 신뢰를 증진시키려는 목적에서 맹세가 필요한 상황이 생기거나 정부가 그것을 요구할 때 가능하다. 이러한 맹세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으며 신구약의 신자들에 의하여 적절하게 사용되기도 했다. 문 101에 대한 답은 맹세와 서약을 혼용하고 있다. 맹세로 번역된 헬라어 호르쿠스는 서원하다, 맹세하다라는 의미이다. 이는 자발적으로 자신이 무엇을 하겠다는 약속인 것이다. 그런데, 서약은 정부가 요구할 때, 거짓증언을 하지 않고, 진실을 말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므로 맹세와는 다른 개념이다. 자신이 자발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나 권력기관 등 공권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맹세라는 용어는 적절하지 않은 표현이다. 마태복음 5장 33-37절「또 옛 사람에게 말한 바 헛 맹세를 하지 말고 네 맹세한 것을 주께 지키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도무지 맹세하지 말지니 하늘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보좌임이요 땅으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발등상임이요 예루살렘으로도 하지 말라 이는 큰 임금의 성임이요 네 머리로도 하지 말라 이는 네가 한 터럭도 희고 검게 할 수 없음이라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도무지 맹세하지 말지니 하늘로도 하지 말라 이는 하나님의 보좌임이요』이처럼 사람이 하는 맹세의 원조는 하나님과의 맹세였으므로 하늘로 맹세하지 말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땅보다 하나님의 발등상이, 예루살렘보다 큰 임금(하나님)이, 머리보다 그것을 자라게 하는 하나님이 더 크다고 말한다. 요컨대 어떤 맹세라도 모두 하나님에게 하는 것이기에 최선을 다해 지켜야 한다는 뜻이지만, 아예 맹세를 하지 말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맹세는 언약과 같은 것인데, 사람은 자기가 한 맹세를 지킬 수 없는 존재라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로마서 3장 21절 『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율법 외에 하나님의 의에 대한 증거가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있다는 말씀이다. 율법 외에 하나님의 의라는 것은 로마서 3장 22절에서 『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디아 피스테오스 예수 그리스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라고 말을 한다. 디아 피스테오스 예수 그리스도 (διὰ πίστεως Ἰησοῦ Χριστοῦ) 는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을 통하여 라는 의미다. 한글 개역개정에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되어있는데,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것은 믿는 자가 주체이지만,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은 예수 그리스도가 주체이다. 자기를 부인하는 자만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다. 이신칭의의 믿기만 하면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예수를 믿기만 하면 구원받는 것에 대해서는 예수가 이 땅에서 하나님과 같은 존재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 땅에 오신 예수는 하나님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이시다. 그 분은 신성은 있지만, 하나님이라 칭함을 받지 않았다. 이신칭의가 예수 그리스도를 성자 하나님으로 둔갑시키는 것이다. 물론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는 여호와 하나님 자리로 돌아갔지만, 이 땅에 십자가를 지기 위해 오신 분은 하나님의 아들인 것이다. 그래서 그리스도의 믿음은 십자가에서 죽고 부활한다는 믿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스도 안으로 들어가는 자가 이 믿음을 통하여 구원을 얻을 수 있다. 즉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십자가에서 죽고 함께 부활한다는 로마서 6장 6절의 말씀이 여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고 하나님의 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을 통하여 나아갈 때 하나님의 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하나님의 의가 이미 율법에서 증거하고 있다는 것이다. 로마서 3장 20절에서 『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엑스 에르곤 노무...

문답 98-100

  제 98문 : 그렇다면 그 형상들을 교회에서 학습보조 교재로 사용하는 것도 안되는가? 답 : 그렇다. 우리가 하나님 보다 더 현명해지려고 해서도 안된다. 하나님께서는 말못하는 우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살아있는 말씀의 전파를 통해서 자기 백성들이 가르침 받기를 원하신다. 하나님의 형상은 그리스도이시다. 보이지 않는 형상이 보이는 형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골로새서 1장 15절 「그는 보이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형상이시요 모든 피조물보다 먼저 나신 이시니」 교회 공동체마다 예수님에 대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그 분의 모습을 표현한다. 복음을 전파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십자가의 예수 그리스도, 부활하신 예수 그리스도 등의 여러 모양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런 형상을 두고 우상이라고 말하는 교회는 없을 것이다.     제 99문 : 제 3계명에서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은 무엇인가? 답 : 하나님을 모독하거나 그의 이름을 빌어서 저주, 거짓맹세, 또는 불필요한 맹세를 하지 말며 침묵하는 방관자가 되어서 그러한 무서운 죄악에 간접적으로 동참하지도 말라는 것이다. 한마디로 그 계명은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을 사용하여서 우리의 모든 말과 행위로 그에게 신앙을 고백하고 기도하며 찬양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지 말라 여호와는 그의 이름을 망령되게 부르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 하나님이 계명을 주신 대상은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를 대상으로 주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 백성들에게 주신 말씀이다. 하나님을 믿지 않는 자들은 성경 말씀과 관련이 없는 죄인들이므로 언급하는 자체가 의미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신도가 하나님을 믿는다고 말을 하면서, 율법주의에 빠져있고, 세상을 사랑하고, 자기의 의를 내세우는 신비주의에 빠져 있다면, 이들은 하나님의 이름을 모독하는 것이다. 그들이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른다면, 하나님은 그들을 망령된 자라 여기며, 자신의 이름을...

율법은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라

  율법은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라 로마서 3장 16절『 우리가 알거니와(오이다멘) 무릇 율법이(호 노모스) 말하는(레게스)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토이스 엔 토 노모)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라』 오이다멘( οἴδαμεν) 은 머리로 깨달아 아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율법의 정체를 깨달아 아는 것이다. 호 노모스 (ὁ νόμος) 는 그 율법이다. 토이스 엔 토 노모 (τοῖς ἐν τῷ νόμῳ) 는 율법 안에 있는 자들이다. 즉 율법의 범주 안에 있는 자들에게 효력이 발생한다. 유대인들은 모세의 율법 안에 속해 있는 자들이다. 기독교 역시 율법의 범주 안에 있다고 볼 수 있다. 하나님은 모세의 율법으로 잘잘못을 가리는 모든 입들을 막으신다. 하나님이 율법을 주신 이유는 온 세상이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은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는 자들이라는 말씀이다. 그러나 나의 믿음과 하나님이 주시는 믿음이 만날 때 은혜 아래 있는 자가 된다. 갈라디아서 3장 23-25절에서『믿음이 오기 전에 우리는 율법 아래에 매인 바 되고 계시될 믿음의 때까지 갇혔느니라 이같이 율법이 우리를 그리스도께로 인도하는 초등교사가 되어 우리로 하여금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함을 얻게 하려 함이라 믿음이 온 후로는 우리가 초등교사 아래에 있지 아니하도다』 하나님을 믿는다고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시는 믿음과 연결되어야 구원받는다. 믿음은 그리스도를 통해 나와 하나님을 연결시켜 준다.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일방적으로『내가 믿습니다』라고 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 이 믿음은 그리스도로 옷입는 자 뿐이다. 하나님은 그리스도로 옷입은 자만 아신다. 이게 세례다. 갈라디아서 3장 27절에서『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기 위하여 세례를 받은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었느니라』그리스도로 옷입는 것은 부모로 받은 옛사람이 예수 그리스도와 ...

문답 95-97

  제 95문 : 우상숭배란 무엇인가? 답 : 우상숭배란 자신의 말씀을 통하여 자신을 계시하신 유일하고 참되신 하나님 대신에 또는 그 옆에(동등하게) 그 무엇을 신뢰하거나 만들어 소유하는 일이다. 우상숭배는 영적으로 보면 자기가 신이 되는 것이다. 자기의 의를 드러내고 싶은 탐욕의 마음이 곧 우상숭배라는 것이다. 골로새서 3장 5절에서『그러므로 땅에 있는 지체를 죽이라 곧 음란과 부정과 사욕과 악한 정욕과 탐심이니 탐심은 우상 숭배니라』 땅에 있는 지체는 곧 옛사람이다. 옛사람이 원하는 것의 가장 핵심은 재물이다. 하나님을 섬긴다고 말을 하면서, 재물을 겸히 섬기는 것이 바로 영적 간음인 것이다. 마태복음 6장 24절에서『한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기지 못할 것이니 혹 이를 미워하고 저를 사랑하거나 혹 이를 중히 여기고 저를 경히 여김이라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하느니라』 탐심의 본질은 세상을 사랑하고, 자기를 사랑하고, 죄를 사랑하는 마음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는 세상에 대해서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며, 자기를 부인하고, 죄에 대해서도 죽은 자임을 믿는 자들이다. 그런데,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말을 하면서도 세상을 사랑하고, 자기를 사랑하고, 죄를 사랑한다면, 그리스도 안에 있다고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요한1서 2장 15-17절에서『 이 세상이나 세상에 있는 것들을 사랑하지 말라 누구든지 세상을 사랑하면 아버지의 사랑이 그 안에 있지 아니하니 이는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니 다 아버지께로부터 온 것이 아니요 세상으로부터 온 것이라 이 세상도, 그 정욕도 지나가되 오직 하나님의 뜻을 행하는 자는 영원히 거하느니라』 세상은 영적으로 감옥과 같은 곳이다. 그래서 하나님이 세상에는 거하시지 않는다. 오직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에게만 하나님이 거하시는 것이다. 그리스도 안에 있는 자들은 물질적인 것은 세상에 두고, 영의 몸이 하나님 나라로 돌아가야만 하는 것을 잘 알고 있는 자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