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에 대해서
믿음에 대해서 로마서 14장 1절『믿음(테 피스테이)이 연약한 자를 너희가 받되(프로스람바네스데)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라(메 에이스 디아크리세이스 디알로기스몬)』테 피스테아는 그 믿음이다. 그 믿음은 종교화된 율법주의적인 기독교인들을 의미한다. 당시 로마교회는 율법주의적 유대인 기독교인과 헬라인 기독교인이 서로 대립되고 있었다. 유대인 기독교인들은 믿음이 강하게 보이지만 사실상 믿음이 연약한 자라는 것이다. 프로스람바네스데(기본형은 프로스람바노)는 프로스(~을 향해)와 람바노(받아드리다)의 합성어이다. 프로스람바노는 중간태로 사용되었는데, 너희들 자신 안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를) 향해 받아드리라는 것이다. 그들이 받아드려서 예수 그리스도의 믿음을 갖도록 도와주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의 의견을 비판하지 말하는 것이다. 디아크리세이스는 디아(~을 통하여)와 크리시스(판단)의 합성어로, 무엇인가를 통하여 추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디아크리세이스 디아로기스몬은 무엇인가를 통한 추정들의 무언가를 통한 판단들이다. 메 에이스는 을 향해 가지 말하는 부정형이다. 즉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교리나 생각을 통해서 그들을 판단하지 말고 우리 안에 있는 예수 그리스도에게로 그들을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14장 2절『어떤 사람(호스)은 모든 것을 먹을 만한(파게인 판타) 믿음(피스튜에이)이 있고 믿음이 연약한 자(호 아스데논)는 채소만 먹느니라(에스다에이)』 헬라어 성경을 보면, 호스 멘 피스튜에이 파게인 판타 호 데 이스데논 라카나 에스다에이 이다. 이를 번역하면,『그런데, 그 사람은 참으로 모든 것을 먹기 위해 믿는다. 그런데, 연약한 자는 채소들을 먹는다』라는 것이다. 호스는 그리스도의 그 믿음을 가진 자이다. 파게인은 먹기 위해 라는 말로 아오리스트 시제를 사용했다. 율법적으로 막는 것이 아니라 순간적으로 생각없이 먹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이 먹으라고 하면 생각하지 않고 먹는 믿음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믿음이 연약한 자는 채소만 먹는 것이...